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이유제시의 정도와 구체성은 행정처분의 적법성을 판단하는 핵심 기준입니다.
이유제시의 기본 요구사항
충분성의 원칙: 이유제시는 처분 상대방이 그 처분의 적법성과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이어야 합니다. 단순히 법조문을 인용하거나 추상적인 표현만으로는 부족합니다.
명확성의 원칙: 모호하거나 애매한 표현이 아닌,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기술되어야 합니다.
구체적 내용 요소
사실관계의 특정:
- 처분사유가 된 구체적 사실
- 사실의 발생 시기, 장소, 방법
- 관련 증거자료나 근거
법적 근거의 명시:
- 적용 법령의 구체적 조항
- 법령 적용의 해석기준
- 재량권 행사의 기준
판단과정의 설명:
- 사실관계와 법령을 연결하는 논리
- 재량권 행사 시 고려사항
- 다른 대안과의 비교검토 내용
처분 유형별 구체성 정도
재량처분의 경우: 재량권 행사의 기준, 고려요소, 판단과정을 상세히 설명해야 하며, 특히 다른 대안보다 해당 처분을 선택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합니다.
기속행위의 경우: 법령의 요건사실 해당성과 적용근거를 명확히 하면 되지만, 요건사실의 인정과정은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.
제재처분의 경우: 위반행위의 구체적 내용, 위반의 정도, 제재수준 결정의 기준과 과정을 상세히 기술해야 합니다.
판례상 기준
대법원은 "처분 상대방으로 하여금 그 처분이 위법·부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고, 불복절차를 밟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정도"의 구체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
불충분한 이유제시 사례:
- 단순한 법조문 나열
- "관계법령 위반" 등 추상적 표현
- "종합적 검토결과" 등 결론만 제시
적절한 이유제시 사례:
- 구체적 위반사실과 증거 제시
- 법령 적용의 논리적 연결
- 재량권 행사의 구체적 기준 설명
이유제시의 구체성 부족은 절차상 하자로 인한 처분의 위법사유가 되므로, 행정기관은 충분히 구체적이고 명확한 이유를 제시해야 합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