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이유제시의 시기와 방법은 행정처분의 절차적 적법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
## 이유제시의 시기
**원칙적 시기:**
행정절차법 제23조에 따라 처분과 동시에 이유를 제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 처분서에 이유를 기재하거나 처분 통지와 함께 이유를 명시해야 합니다.
**사후 보완의 제한:**
처분 후에 이유를 보완하거나 추가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습니다. 다만, 판례는 매우 제한적인 경우에만 사후 보완을 인정합니다.
**예외적 사후 보완 인정 사례:**
- 처분 당시 이유가 기재되었으나 불충분한 경우의 구체화
- 처분 상대방이 명시적으로 동의한 경우
- 긴급한 상황에서 약식 처분 후 신속한 보완
## 이유제시의 방법
**서면 제시 원칙:**
이유제시는 서면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며, 처분서 자체에 기재하거나 별도 서면으로 통지할 수 있습니다.
**구체적 기재 방식:**
- 처분서의 "처분이유" 란에 직접 기재
- 별지를 통한 상세한 이유 설명
- 관련 자료를 첨부한 종합적 설명
**전자적 방법:**
전자정부법에 따라 전자문서로도 이유제시가 가능하며, 이 경우에도 서면과 동일한 효력을 갖습니다.
## 처분 유형별 방법
**일반 행정처분:**
처분서에 이유를 명시하거나 처분 통지서와 함께 이유서를 교부합니다.
**대량 처분:**
동일한 유형의 대량 처분의 경우, 공통 이유는 일괄 기재하고 개별 사안의 특수성은 별도 명시할 수 있습니다.
**온라인 처분:**
전자민원시스템을 통한 처분의 경우, 시스템상에서 이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.
## 통지와 관련된 특별 고려사항
**송달 방법:**
이유제시서는 처분서와 함께 적법한 송달 방법으로 전달되어야 하며, 송달의 완료 시점이 이유제시 시기가 됩니다.
**언어 사용:**
처분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는 명확한 한국어로 작성해야 하며, 필요시 통역이나 번역을 제공해야 합니다.
**접근 가능성:**
처분 상대방이 이유를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와 분량으로 제시해야 합니다.
## 하자의 효과
**시기 위반의 효과:**
처분과 동시에 이유를 제시하지 않은 경우, 사후 보완이 불가능하므로 해당 처분은 절차상 하자로 위법하게 됩니다.
**방법 위반의 효과:**
구두로만 이유를 제시하거나 불명확한 방법으로 제시한 경우도 절차상 하자에 해당합니다.
**구제 방법:**
이유제시 의무 위반으로 인한 처분의 하자는 취소소송이나 이의신청 등을 통해 다툴 수 있으며, 행정기관은 이를 직권으로 취소할 수도 있습니다.
적절한 시기와 방법으로 이루어진 이유제시는 행정의 투명성과 상대방의 권리보장을 위한 필수 요건입니다.
반응형